맨위로가기

교황 베네딕토 1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베네딕토 12세는 1334년부터 1342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이다. 본명은 자크 푸르니에로, 시토회 수사 출신으로 파미에 주교, 추기경을 거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4세와 화해를 시도하고 아비뇽 교황청 건설을 시작하는 등 개혁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지복직관 교리를 확립하고 오컴의 윌리엄을 파문하는 등 신학적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베네딕토 12세는 프랑스 출신이었으나 프랑스 국왕 필리프 6세와는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지 못했으며, 1342년 아비뇽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토회 출신 교황 - 교황 에우제니오 3세
    교황 에우제니오 3세는 12세기 중반 재임한 교황으로, 시토회 수도사 출신이며, 재임 기간 동안 로마를 떠나 제2차 십자군을 촉구하고 교회 개혁을 시도했으며, 사후 복자로 시성되었다.
  • 아리에주주 출신 - 가스통 드 푸아느무르 공작
    프랑스의 귀족이자 군인이었던 가스통 드 푸아는 푸아 백작 가문 출신으로, 캉브레 동맹 전쟁에서 프랑스군 총사령관으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보였으나 라벤나 전투에서 전사하여 이탈리아 전쟁의 판도에 영향을 미쳤다.
  • 아리에주주 출신 - 파비앵 바르테즈
    파비앵 바르테즈는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주전 골키퍼로 1998년 FIFA 월드컵과 UEFA 유로 2000 우승에 기여하고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AS 모나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등에서 활약한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은퇴 후 모터스포츠 선수로도 활동한 인물이다.
  • 1280년 출생 - 바실 칼리카
    바실리 칼리카는 14세기 노브고로드 대주교로서 정치적 역량과 종교적 지도력을 발휘하며 노브고로드 크렘린 석벽 건설, 성 소피아 대성당 개조 등의 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스웨덴과의 평화 조약 협상에 관여했으며, 흑사병 창궐 당시 프스코프를 방문 후 병사하여 러시아 정교회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1280년 출생 - 오진 (원나라)
    오진은 원나라 시대의 화가로, 산수화와 묵죽도를 주로 그렸으며, 원말 사대가 중 한 명으로 일본의 문인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교황 베네딕토 1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교황 정보
존칭 접두어교황
이름베네딕토 12세
직함로마 주교
본명자크 푸르니에
교회가톨릭교회
임기 시작1334년 12월 30일
임기 종료1342년 4월 25일
이전 교황요한 22세
다음 교황클레멘스 6세
축성1317년
축성자니콜로 알베르티
추기경 임명1327년 12월 18일
추기경 임명자요한 22세
출생일1285년
출생지사베르됭, 프랑스 왕국
사망일1342년 4월 25일
사망지아비뇽, 프로방스 백국
다른 이름베네딕토
베네딕토 12세의 문장
교황 스타일
호칭 스타일존엄하신 성하
경칭 스타일성하
종교적 스타일거룩한 아버지
사망시 스타일없음
로마자 표기
라틴어Benedictus XII
프랑스어Benoît XII
프랑스어 (원어)Jacques Fournier
기타 정보
국적프랑스 왕국
웹사이트Pope Benedict XII

2. 생애 초기

1280년대 무렵 프랑스 사베르됭에서 가난한 집안의 아들로 태어난 자크 푸르니에(Jacques Fournier)의 유년 생활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9] 그는 시토회[9] 수사가 되어 고향을 떠나 파리 대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311년 퐁프루아드 수도원의 수도원장이 된 그는 조직에 대한 뛰어난 통솔력을 보여주었다. 1317년 파미에의 주교로 서품받았다. 주교로 재직하면서 카타리파[10] 이단자들을 철저하게 수색함으로써 교황 요한 22세가 이단 심문에 대해 자문을 구할 정도로 종교 지도자로서 명성을 얻었지만, 지역 주민들과의 관계는 소원해졌다. 그렇지만 그는 유죄를 고백하는 이단자들에게는 관대하게 처분을 내렸다.

아리에주 주 몽타유에 은거한 카타리파 일당을 심문할 때, 그는 이를 기록으로 남겨 나중에 로마로 가져가서 바티칸 도서관에 비치하였다.[11] 장 뒤베르누와에 의해 정리된 그의 이단 심문 기록은 나중에 미시사의 개척자인 프랑스 학자 엠마뉘엘 르 루아 라뒤리에 의해 《몽타유―중세 말 남프랑스 어느 마을 사람들의 삶》(Montaillou, village occitan)이라는 민속보고서로 작성되었다.

1326년 프랑스 남부에 남은 마지막 이단을 근절하는데 성공한 그는 미르푸아의 주교가 되었으며, 1327년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추기경으로 승격된 후에도 자크는 시토회 수도복을 계속 입었는데, 이 때문에 그는 "백색 추기경"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종종 교황 요한 22세에게 교리 문제, 특히 마법의 이단적 성격에 대해 조언했다. 자크는 교황으로부터 피에르장 올리비,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윌리엄 오컴, 미카엘 체세나의 저술을 조사하라는 임무를 받았다.

3. 교황 선출

1334년 콘클라베에서 푸르니에는 교황 요한 22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12월 13일 소집된 콘클라베는 신속하게 끝날 것처럼 보였다. 당시 유력한 후보자였던 포르토의 교구장 장레몽 드 코망쥬 추기경이 로마로 교황청을 다시 옮기지 않겠다는 약속만 한다면 3분의 2 이상의 추기경들이 그에게 표를 던질 참이었다. 그렇지만 코망쥬는 자신의 당선을 위해 어떠한 사전 약속도 하는 것을 거부하였다.[12] 그러자 콘클라베는 당초 예상보다 길어졌다. 푸르니에가 말했듯이 추기경들은 분명 평판이 다른 인물들에 비해 높은 인물에게 표를 던질 준비가 되어 있었는데,[12] 이는 달리 말하면 유력한 후보들이 많이 있었다는 셈이 된다. 콘클라베가 시작한 지 8일째 되는 날인 1334년 12월 20일 저녁 성무일도를 바친 후 시토회 출신 자크 푸르니에가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3]

자크 푸르니에는 1335년 1월 8일 교황 베네딕토 12세라는 이름으로 교황이 되었다. 프랑스 출신으로, 엄격한 인물이었던 그는 뇌물 등의 악폐를 금지하고, 주교는 교구에 거주하도록 요구했다. 또한, 아비뇽 유수 시기 아비뇽 교황청 궁전 건설을 시작했다.

4. 교황 재위 기간의 정치와 활동

베네딕토 12세는 재임 기간 대부분을 신학 문제에 할애하였다. 요한 22세는 최후의 심판 때에 가서야 지복직관(至福直觀)을 누릴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베네딕토 12세는 1336년 교황 헌장 《찬양하올 하느님》(Benedictus Deus)을 반포하여 죄 없이 죽은 영혼은 직접 천국에 들어가 지복직관을 누린다는 교리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14][15] 원죄 없는 잉태에 대한 그의 입장은 명확하지 않다. 그는 오컴의 윌리엄,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등 당대 유명 인사들과 신학적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프란치스코회 수사이자 신학자인 오컴의 윌리엄은 요한 22세에 의해 이단으로 파문되었는데, 베네딕토 12세 역시 그를 파문했다.[3] 오컴의 윌리엄은 『교황 베네딕토 12세에 대한 반론』이라는 저서를 남겼다.[4]

아비뇽 대성당에 있는 베네딕토 12세의 무덤


1342년 4월 25일 아비뇽에서 사망했다.

4. 1. 교황청 개혁

베네딕토 12세는 전임자의 정책을 따르지 않고 변화를 도모한 개혁 교황이었다. 신성 로마 제국의 루트비히 4세 황제와 화해하고, 당시 로마 교황청과 불편한 관계에 있었던 프란치스코회와 가급적 타협을 보았다. 수도회들의 사치를 단속하려고 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또한 아비뇽 교황청 건설을 지시했다.

즉위 초부터 성직자들의 탐욕과 편애, 그리고 수혜직(benefice) 수여의 남용을 억제하기 위해 교황청과 속회 성직자 개혁에 힘썼다. 그러나 주요 개혁 대상은 수도회였다. 1335년에서 1336년까지 그의 교황 재위 기간의 중요한 이정표 중 하나로 여겨지는 변화를 시행했다.

프랑스 출신으로, 본명은 자크 푸르니에(Jacques Fournier)이다. 엄격한 인물로, 뇌물 등의 악폐를 금지하고, 주교는 교구에 거주하도록 요구했다.

4. 2. 신성 로마 제국과의 관계

베네딕토 12세는 전임 교황들과 달리 신성 로마 제국의 루트비히 4세 황제와 화해를 시도했다. 교황 선출 이후 루트비히 4세는 사면과 분쟁 종식을 요청하는 사절단을 보냈고, 베네딕토 12세는 호의적인 의향을 밝혔다.[14][15] 그러나 필리프 6세와 루트비히 4세 양측의 정치적 책략 때문에 협상은 지연되었다.[9]

신성 로마 제국에 대한 파문은 큰 혼란을 야기했다. 독일 주교들과 제국 삼부회는 루트비히에게 해결책을 찾도록 요청했고, 베네딕토 12세는 다시 루트비히로부터 사절단을 받았다. 하지만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1338년 7월 16일 렌스에서 삼부회는 교황의 승인 없이 제국 내 모든 권리와 재산에 대한 황제의 권한을 부여하고, 요한 22세가 루트비히에게 내린 모든 칙령은 불법이라고 선포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베네딕토 12세는 사절을 보내 루트비히와 회담을 주선했지만, 루트비히의 사절단은 도착하지 않았고, 신성 로마 제국을 교황의 감독 아래 회복하려는 시도는 무산되었다.

4. 3. 이탈리아 정책

베네딕토 12세는 전임자와 달리 이탈리아에 대한 교황의 개입을 삼갔다. 1339년 교황청 기록 보관소를 아시시에서 아비뇽으로 옮겼다. 밀라노를 포함한 여러 귀족 도시들을 위해 면죄령 목록을 발표하여 평화를 대가로 파문과 성무 금지 조치를 해제했다.[14] 이탈리아에서 교황의 세속 권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아초네 비스콘티와 협상했다.[15] 아초네 비스콘티는 루이트폴트를 포기할 준비가 되어 있었지만, 롬바르디아 도시인 피아첸차, 로디, 크레마에 대한 교황의 통치는 받아들이지 않았다.[15] 그는 이러한 거절을 결코 용서받지 못했고, 파문된 채 죽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1339년 아초네 비스콘티 사후 베네딕토 12세는 루키노 비스콘티를 밀라노의 교황 대리 및 피아첸차와 크레마의 통치자로 임명했다.[15]

4. 4. 프랑스와의 관계

베네딕토 12세는 프랑스 출신이었지만 프랑스나 프랑스 국왕 필리프 6세에 대해 특별한 애착을 갖지 않았다.[9] 교황 재위 초기부터 그와 필리프 6세의 관계는 원만하지 못했다.[9] 필리프 6세의 스코틀랜드 침공 계획을 들은 베네딕토 12세는 이 싸움에서 장차 잉글랜드에드워드 3세가 승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9]

1336년 1월, 베네딕토 12세는 아라곤제노바, 나폴리시칠리아 간의 갈등으로 십자군이 방해받고 있던 서지중해 지역의 평화를 위해 필리프 6세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두 달 후, 교황은 기독교 세계가 내분으로 쇠약해졌다고 판단하여 십자군을 취소하는 서한을 보냈다. 그해 12월, 베네딕토 12세는 6년간의 십자군 십일조를 취소했다.

1340년, 베네딕토 12세의 육군 원수는 영국 사절들을 납치하여 프랑스에 넘겼다.[9] 베네딕토 12세는 교황의 제재를 이용하여 그들을 석방시키고 육군 원수를 교수형에 처했다.[9]

4. 5. 아비뇽 교황궁 건설

베네딕토 12세는 1335년에 아비뇽 교황궁 건설을 명령했고, 클레멘스 6세 치하에서 완공되었다.[14]

5. 신학적 업적

베네딕토 12세는 재임 기간 대부분을 신학 문제에 할애하였다. 그는 요한 22세가 주장한 지복직관(至福直觀)에 대한 견해에 반대하며, 1336년 교황 헌장 《찬양하올 하느님(Benedictus Deus)》을 통해 죄 없이 죽은 영혼은 천국에서 즉시 지복직관을 누린다는 교리를 확립했다.[14][15]

전임 교황 요한 22세가 이단으로 파문한 오컴의 윌리엄에 대해서도 베네딕토 12세는 파문했다.[3] 오컴은 저서 『교황 베네딕토 12세에 대한 반론』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변호했다.[4]

5. 1. 지복직관 교리 확립

베네딕토 12세는 재임 기간 대부분을 신학 문제에 할애하였다. 그는 요한 22세가 최후의 심판 때에 가서야 지복직관(至福直觀)을 향유한다고 한 데 반하여, 1336년 교황 헌장 《찬양하올 하느님(Benedictus Deus)》을 반포하여 죄 없이 죽은 영혼은 직접 천국에 들어가 지복직관을 누린다는 교리를 공식적으로 반포하였다.[14][15] 그는 오컴의 윌리엄,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등 당대의 유명한 인물들과 오랫동안 신학적 논쟁을 벌였다. 일각에서는 그가 원죄 없는 잉태에 반대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분명치 않다.

베네딕토 12세는 요한 22세가 발전시킨 많은 사상들을 거부하고 1336년에 교황령 '''베네딕투스 데우스'''를 발표했다. 이 교리는 죽은 자의 영혼이 최후의 심판까지 무의식적인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죽은 직후 곧바로 영원한 보상을 받는다는 교회의 신념을 정의했다.[2] 그가 무염시태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였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는 명확하지 않다.

5. 2. 기타 신학적 논쟁

베네딕토 12세는 재임 기간 대부분을 신학 문제에 할애하였다. 요한 22세는 최후의 심판 때에 가서야 지복직관을 향유한다고 한 데 반하여, 베네딕토 12세는 1336년 교황 헌장 《찬양하올 하느님(Benedictus Deus)》을 반포하여 죄 없이 죽은 영혼은 직접 천국에 들어가 지복직관(至福直觀)을 누린다는 교리를 공식적으로 반포하였다.[14][15][2] 일부에서는 그가 원죄 없는 잉태에 반대했다고 주장하지만, 분명치 않다. 베네딕토 12세는 오컴의 윌리엄,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등 당대의 유명한 인물들과 오랫동안 신학적 논쟁을 벌였다.

6. 죽음

베네딕토 12세는 1342년 4월 25일에 사망하였으며,[3] 아비뇽의 노트르담 데 돔 대성당에 매장되었다.[4]

7. 평가

교황 베네딕토 12세는 프랑스 출신으로, 엄격한 성격을 지닌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교황청 내의 뇌물 수수와 같은 악습을 금지하고, 주교들이 자신의 교구에 상주하도록 지시했다. 또한 아비뇽 교황청 궁전 건설을 시작한 인물이기도 하다. 그러나 전임 교황 요한 22세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4세 간의 갈등은 해소하지 못했다. 1338년 프랑크푸르트 제국 의회에서는 로마 왕으로 선출된 인물이 곧 황제이며, 교황의 대관식은 필요하지 않다는 선언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교황 배척론은 1356년 금인칙서를 통해 문서화되었다.[3]

베네딕토 12세는 전임 교황 요한 22세에 의해 이단으로 파문당한 프란치스코회 수사이자 신학자인 오컴의 윌리엄을 마찬가지로 파문하였다. 오컴의 윌리엄은 이에 대한 반박으로 『교황 베네딕토 12세에 대한 반론』을 저술했다.[4]

8. 작품

Formulare advocatorum et procuratorum Romane curie et regii parlamentila (로마 교황청 및 왕립 의회 변호사 및 대리인 양식집한국어), 오타비아노 스코토 일 조바네, 베네치아, 1536년

참조

[1] 서적 Translating Resurrection: The Debate Between William Tyndale and George Joye in Its Historical and Theological Context Brill
[2] 웹사이트 'Benedictus Deus' on https://web.archive.[...] Papalencyclicals.net 2013-06-23
[3] 문서 清水(2004)
[4] 문서 清水(2004)
[5] 서적 Ockham and Political Discourse in the Lat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Merchant Crusaders in the Aegean, 1291-1352 The Boydell Press
[7] 서적 Papal Genealogy: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McFarland & Company Inc.
[8] 웹사이트 Pope Benedict XII http://www.nndb.com/[...] 2017-01-05
[9] 서적 Trial by Battle Faber and Faber
[10] 서적 Schools of Asceticism: Ideology and Organization in Medieval Religious Communities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1] 서적 Europe: A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habito super electionis futuri papae celebratione tractatu, licet consentire potuissent in alios majorum meritorum claritate conspicuos, et plurium virtutum titulis insignatos Baronio (ed. Theiner)
[13] 웹사이트 Sede Vacante 1334 http://www.csun.edu/[...] 2016-06-26
[14] 위키소스 Benedictus Deus
[15] 웹사이트 'Benedictus Deus' on https://web.archive.[...] Papalencyclicals.net 2013-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